제목: 은혜
말씀: 창세기 18:3 ‘이르되 내 주여 내가 주께 은혜를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종을 떠나 지나가지 마옵시고’
은혜의 헬라어는 "카리스Charis"로 이는 “받을 만한 가치가 없는 사람에게 값없이 주어지는 것”으로 ‘호의favor’를 의미합니다. 아울러 ‘카리스마’는 ‘선물gift’로 ‘은사’를 의미합니다. 그러면 ‘은사’가 어떤 의미가 담긴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은혜’의 히브리어로는 ‘헨’과 '헤세드' 로, ‘헨’의 영어 표현이 ‘grace’로 은혜, 은총, 편파적 사랑을 의미하고, ‘헤세드’는 kindness mercy 또는 pity로 ‘인정을 베품, 죄사함, 불쌍히 여김’을 의미합니다. 특히 ‘헨’의 언어학적 의미는 생명인 ‘헤트’와 영원함의 ‘눈’이 합성된 언어로 ‘영원한 생명’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은혜의 영어 표현인 ‘그레이스’는 라틴어 ‘그라투스’(즐거운, 고마운)에서 온 명사 ‘그라티아’(호의, 매력, 감사)에서 유래했고 기독교에서는 은혜, 은총을 뜻합니다.
요한복음 1:14에서와 같이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에는 '헤세드(은혜)'와 에메트(진리)가 충만합니다. 그 '은혜'가 바로 '헤세드'입니다. '헤세드'는 '하싸드'라는 '사랑하다', '연모하다' '자비하다'는 뜻을 가진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헤세드'는 일반적인 '은혜', '자비', '긍휼'의 의미도 있지만,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은총', '자비', '긍휼' ‘죄사함’ 을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히브리어 ‘헨’이 쓰인 본문으로는 대홍수를 앞두고 창세기 6:8의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를 입었더라’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아브라함이 18:3에서 ‘이르되 내 주여 내가 주께 은혜를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종을 떠나 지나가지 마옵시고’에서도 사용됩니다. 또한 요셉이 이집트에서 감옥에 갇혔을 때인 창세기 39:21에서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시고 그에게 인자를 더하사 간수장에게 은혜를 받게 하시매” 그리고 출애굽기 33:17에서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시기를 “너는 내 목전에 은총을 입었고 내가 이름으로도 너를 앎이니라” 등이 있습니다.
‘헤세드’는 창세기 40:14의 ‘당신이 잘 되거든 나를 생각하여 내게 은혜를 베풀어서’ 에서, 출애굽기 20:6의 ‘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 대까지 은혜를 베푸느니라’ 등에서 사용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성경에서는 혼용하고 있으나 ‘헨’과 ‘헤세드’의 히브리어는 구분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구분의 기준은 ‘헨’은 ‘하나님의 일방적인 사랑의 은혜’를 ‘헤세드’는 ‘여호와의 언약을 믿고 의지하는 자들을 구원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열심으로 베푸는 은혜 은총’의 차이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구약성경에서 ‘헨’은 43회 ‘헤세드’는 52회 사용되었다고 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신약 성경에서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5:10에서 ‘내가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라고 스스로 은혜 받은 자라고 고백합니다. 사도 바울이 왜 이런 고백을 하나요? 그는 예전에 예수 믿는 자들을 심하게 핍박하였던 자입니다. 그런 자를 일방적으로 택하여 이방인에게 복음 전도자로 세우신 것입니다.
이처럼 은혜는 우리가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일방적으로 베푸시는 선물입니다.
여러분 모두가 이렇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로 하나님과 동행하시는 참 그리스도인이 되시기를 축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MDMS
'은혜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빛으로 열매 맺고 나누어야 합니다. (0) | 2025.04.01 |
---|---|
마땅한 감사의 마음 (0) | 2025.03.27 |
마땅히 할 일과 가야 할 길 (0) | 2025.03.20 |
믿음 소망 사랑 (0) | 2025.03.18 |
일과 예배 (1)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