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신칭의

로마서 강해 5:5 하나님의 사랑 제목: 로마서 강해 5:5 하나님의 사랑말씀: 로마서 5:5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 소망은 결코 낭패를 당하게 하지 않을 뿐더러 우리들을 일으켜 세워 줍니다. 8:37에서도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 하였습니다. ‘소망이 부끄럽게 아니한다’는 것은 우리가 넉넉히 이긴다는 말을 달리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시련을 참고 통과한다는 것은 그 이상으로 넉넉히 이기는 기쁨과 즐거움과 자랑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사람은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의 마지막에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 하였습.. 더보기
로마서 강해 5: 3-5 환난때문에 즐거운 그리스도인 제목: 로마서 강해 5: 3-5  환난때문에 즐거운 그리스도인말씀: 로마서 5:3-5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 앞서 1-2절 말씀에서 바울은 이신칭의의 결과로서 우리의 구원을 확신할 수 있는 근거로 3가지를 얘기하였습니다. 첫째,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린다. 둘째,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 얻은 것. 셋째,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어 3절의 시작을 ‘다만.. 더보기
로마서 강해 5장 1-2 이신칭의가 가져온 결과 제목: 로마서 강해 5장 1-2  이신칭의가 가져온 결과 말씀: 로마서 5:1-2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또한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 얻었으며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하느니라’ 요한복음4:13-14에서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이 물을 마시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하셨습니다. 6:35에서도 말씀하시기를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라고 하십니다. 이렇게 오늘의 .. 더보기
로마서 강해 5장 1-2절 (1) 제목: 로마서 강해 5장 1-2절 (1) 말씀: 로마서 5:1-2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또한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 얻었으며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하느니라’ 이제 로마서 4장에 대한 강해를 마치고 5장으로 들어가려 합니다. 4장까지 이신칭의에 대하여 나누었으며 5장은 새로운 대목의 도입일 뿐 아니라 여러면에서 로마서의 나머지 부분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열쇠입니다. 동시에 5장은 최상의 평안과 용기를 주는 교훈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5장의 내용에 앞서 5장부터 8장의 전체를 들여다보겠습니다. 사도 바울은 5장을 시작하면서 ‘그러므로’로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앞의 4장 2.. 더보기
로마서 4장 Ch. 27-2 예수 그리스도의 의 제목: 로마서 4장 Ch. 27-2 예수 그리스도의 의 말씀: 로마서 4:1-3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된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얻었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뇨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이것이 저에게 의로 여기신 바 되었느니라 4장의 1절에서 5절까지는 아브라함의 경우를 그 사실과 그에 대한 성경의 진술을 통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6,7,8절에서는 다윗이 시편 32편에서 직설적으로 말한 것을 대하게 됩니다. 9절로 12절까지 그는 이 모든 것이 아브라함이 할례받기 전에 있었던 것과, 그러므로 할례가 결정적인 것은 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그리고 13절에서 17절까지는 이런 것이 역시 율벙이 주어지.. 더보기